Progressive Rock이란?

2021. 6. 11. 19:16
728x90

 

프로그레시브 록의 탄생

누구나 아트 록 또는 프로그래시브 록은 영국에서 태동했다고 말한다. 그러나 이러한 부류의 음악형태가 언제, 누구에 의하여 등장하게 되었는지 또한 과연 그것들의 정의가 무엇인지에 대하여 정확히 말해줄 수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그동안 이러한 주제를 시원하게 다루었던 평론가나 문헌이 전혀 없었기 때문이다. 물론 이러한 주제를 놓고 추상적으로 다루었던 잡지류나 사전류들은 많이 찾아볼 수 있으나 모두가 단순한 것이었다. 종주국인 영국마저도 이러한 주제를 놓고 심각하게 생각하지 않았으며 불모지인 미국의 경우는 언급할 필요 없이 전무후무한 상태이다.


가까운 일본의 경우는 두터운 애호가층 덕분에 어느 정도의 분석이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세계적으로 분석력이 제일 뛰어나다는 일본인들의 분석 역시 석연치 않은 단면을 보여준다. 그들도 자료빈곤에 대한 한계성을 극복할 수 없었다. 특히 일본인들 특유의 음악적 취향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던 편협한 분석이었다.


악기발달에 의한 태동

프로그레시브 록이라는 진정한 의미를 악기의 사용이라는 차원에서 굳이 찾는다면, Synthesizer와 재생장치인 Mellotron, 그리고 여러 가지 전자적인 Effect의 사용들을 내세울 수 있을 것이다. 아마도 이러한 새로운 연주도구와 재생 장치 등을 전격적으로 도입했기 때문에 "진보적이다"라는 의미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프로그레시브 록에 쓰이는 악기는 한계가 없다. 우리와 더불어 존재하는 모든 것이 악기이기 때문이다. 프로그레시브 록에는 '진보적인 대중음악'이라는 의미와 상반된, 과거 클래식에 쓰이던 악기들도 과감하게 도입된다. 대부분의 프로그레시브 록그룹들이 바이올린, 첼로, 플롯 등의 옛 악기들을 사용했다. 그 이유는 프로그레시브 록이 클래식의 심포니에서 비롯된 대중 음악의 한 부류이기 때문이며 또한 연주자들이 역시 대부분이 고전음악을 전공한 Art School 출신들이었기 때문이다.

 

1954년까지 Electronic Music Synthesizer라는 명칭은 이 지구상에 존재하지 않았다. 그러나 RCA사의 도움으로 Harry Olsen 박사 팀에 의해서 세계 최초의 신서사이저가 발명된다. 하지만 이 시스템은 매우 불안정했으며 여러 가지의 결함이 발견되었기 때문에 실용화는 불가능했다. 따라서 그는 새롭게 디자인한 RAC MKII 를 콜롬비아대학과 프린스톤대학에 설치했는데 이 신서사이저는 초기 컴퓨터 구조와 흡사했다. 다만, 두개의 동조된 마스터 디스크가 있으며 그 하나에 6개 녹음채널을 가지고 있었다.

 

10년 후인 1964년 여름, Robert Moog 박사에 의해 세계 최초로 무그 신서사이저가 상용화되었는데, 그는 전압을 조정하여 음파를 변화시키는 Electronic Music Synthesizer의 표준형을 개발한 것이었다. 이 시스템은 커다란 녹음실의 작곡가들과 제작자들에게 전문가용으로 소량 보급되었다. 실질적으로 신세사이저가 록 뮤지션들에게 보급되기 시작한 것은 1960년대 말부터였으며 Emerson Lake & Palmer의 Keith Emerson이 신서사이저를 즐겨 사용한 대표적인 뮤지션이다.

 

Progressive Rock의 정의

우리는 여러 대중음악 사전이나 심지어 일반 영어사전에서까지 Progressive Rock에 대한 정의를 쉽게 찾을 수 있다. 그러나 수십만 가지의 낱말들을 풀이해 놓은 사전에서 마주치게되는 한, 두 줄의 조그마한 글자로 된 정의는 결코 우리들을 만족시킬 수 없는 것이다. 그나마 그럴 듯하게 정의해놓은 한 국내 영한사전은 '복잡한 프레이징과 즉흥이 가미된 전위적 록 음악'이라고 간결하게 풀이해 놓고 있다. 물론, 영문은 그대로 번역해 놓은 것이겠지만 프로그래시브 록의 유형 중에 소외받고 있는 Avant Garde에 가까운 Jazz Rock을 정의하고 있는 느낌이다.

 

대중음악 사전에서도 극소수의 사전들이 프로그레시브 록을 정의하고 있는데, 그 중에서 가장 성의있는 내용을 다루고있는 롤링스톤지의 Rock & Roll 백과사전일 것이다. 그 전문을 요약하면, '일반적으로 프로그레시브라는 것은 유럽의 Classic을 모티브로 오케스트레이션과 전형적인 확장된 형식, 그리고 복잡하고 난해한 여러 조곡형식을 취하고 있는 일렉트릭 악기류를 사용하고 있는 록의 한 부류를 뜻한다. 프로그레시브 록은 종종 Art Rock으로 불리기도 한다.

 

다음은 우리나라의 프로그레시브 록 전문가인 성시완씨가 정의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1960년대 말 Rock Music에 도입되기 시작한 프로그레시브라는 개념은 보다 미학적인 면을 추구하는 음악 그 자체나 연주자들을 지칭하고 있다Pop Music이나 기존 Rock Music에 비하여 프로그레시브 록은 매우 신중한 음악이다. 또한 영리보다는 자신들이 주장하는 음악적 추구를 우선한다. 즉, 탈상업주의 ― 비 영리주의를 고수, 양보다는 질적(예술적인 측면에서 음반자체에 쏟아 붙는 열정)면을 내세우고 있다.

 

프로그레시브 록은 클래식의 교향곡을 모티브로 조곡형식을 갖추거나 하나의 주제 테마를 지닌 Total앨범 형식 또는 개념일치의 Concept 형식을 취하고 있다. 또한 프로그레시브 록은 Modern Jazz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았는데 특히, 1960년에 성행했던 자유스러운 분위기로 즉흥적으로 연주되었던 Free Jazz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았다.


또한 프로그레시브 록은 현대음악에 크게 영향을 받았다. 현대음악으로부터의 가장 큰 영향은 바로 '실험정신' 일 것이다. 그 다음은 전기, 전자 음악의 사용과 녹음 방식 등, 음악을 만드는 과정의 도입일 것이다. 끝으로 프로그래시브 록을 간단히 정의한다면 '프로그레시브 록은 젊음의 록음악에 기존의 고전적인 요소, 민속-민족적인 요소, Jazz적인 요소 또는 전위적인 요소들을 융합시켜 악기의 다양화와 고급화를 통한 기술혁신으로 이루어진 진취적이고 미학적인 음악이다.

 

728x90

'Music & 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Heavy Metal  (0) 2021.06.15
Pop Metal, Indie Metal, Christian Metal  (1) 2021.06.15
Art Rock & Progressive Rock이란?  (0) 2021.06.14
Art Rock의 정의와 특성  (0) 2021.06.13
Progressive Rock의 국가 분류  (3) 2021.06.10

+ Recent posts